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주식 시세가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2.0원 오른 1,437.0원에 개장했다. 연합뉴스
원·달러 환율 급등 직격탄을 맞은 지역 업체들 가운데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고 내수 판매를 위주로 한 지역 업체들의 피해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 자체 대응책 마련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7일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부산 3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른 지역 수입기업 영향 및 피해상황 긴급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단기간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철강·식품 등 원부자재 수입 기업들의 수입 비용이 증가해 환차손, 영업이익 감소 등의 애로를 겪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특히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고 내수 판매 위주가 주를 이루는 기업일수록 피해가 컸다.
철판을 수입해 내수 위주로 공급하는 철강 유통업체 A사의 경우 “수입대금의 50%정도는 환헤지(환율 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환율을 현재 시점 환율에 고정하는 것)를 했지만, 나머지는 무방비 상태여서 피해가 크다”고 호소했다. 에어컨 냉매 가스를 수입해 국내 산업용으로 납품하는 B사 역시 “환율 급등으로 인한 수입금 증가로 원가 부담이 커져 이익률이 줄고 있다”고 토로했다.
협력사들이 상당수인 지역 상공계 특성상 원청과의 계약 구조, 경기 불황에 따른 판매량 감소 우려 등으로 인해 원가 인상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철강 유통업체 C사는 “매출처와 약정된 단가로 납품하는 계약구조상 원가 상승분을 즉각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밝혔다. 수산물 유통업체 D사 역시 “수입비용 증가분을 그대로 제품 가격에 반영한다면 소비자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어 매출 감소와 직결된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지역 기업 대부분이 자체 대응책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외환 당국의 환율 안정화 조치가 시급하다는 게 부산상의의 진단이다. 부산상의는 “예기치 못한 국내외 정세 급변으로 환율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개별적으로 대응하기엔 역부족”이라며 “외환당국의 조속한 조치와 함께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다방면의 금융지원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환율급등 #원가부담 #내수판매업체피해 #물가상승